728x90
728x90
🌞 여름이 오기 전, 갑자기 생각난 BMI
이번 주가 지나면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될 것 같은 요즘.
“다이어트 진작 시작했어야 하는데...”
매년 이맘때면 괜히 조급해지는 마음, 공감하시죠?
그래서 문득 떠오른 단어: BMI (체질량지수)
남녀 연령별 평균 BMI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.
✅ BMI란 무엇인가요?
BMI = 체중(kg) ÷ (키(m) × 키(m))
BMI는 체중과 키를 바탕으로 현재 체형이 과체중인지, 저체중인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대표 지표입니다.
다만 아래 한계점도 존재해요.
⚠ BMI의 한계점
근육과 지방을 구분하지 못함 | 운동선수도 BMI상은 ‘비만’으로 나올 수 있음 |
연령·성별 특성을 반영하지 않음 | 노인과 청년, 여성과 남성의 기준 동일 |
복부비만·체지방률 등 누락 | 건강의 핵심 요소를 놓칠 수 있음 |
✅ 함께 보면 좋은 건강 지표
체지방률 | 체형에 비해 숨은 지방 확인 가능 |
허리둘레 (WHR) | 복부비만 여부 확인 – 대사질환 위험 예측 |
기초대사량 | 다이어트/운동 계획 시 에너지 소비 기준 |
골격근량 | 마른비만 or 근육 부족 구분 가능 |
📌 그럼에도 불구하고 BMI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?
근육이 많은 BMI는 체지방률, 근육량 등을 반영하지 못하는
불완전한 지표지만, 쉽고 빠르게 건강 위험군을
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용한 기준입니다.
특히 질병 위험과의 통계적 상관관계가 뚜렷해,
건강검진이나 국가 통계에서 표준 지표로 계속 활용되고 있습니다.
📊 BMI 기준
18.5 이하 | 저체중 |
18.5 이상 ~ 24.9 이하 | 정상체중 |
25 이상 ~ 29.9 이하 | 과체중 (Overweight) |
30 이상 | 비만 (Obese) |
📈 2021–2023 남녀 연령별 BMI 통계 요약
국가통계포털에서 확인한 2021 ~ 2023 남/녀 BMI지수를 그래프로 그려보았습니다.
🔵 남성
-
- 30
40대 평균: **25.725.9 (과체중 범주)** - 60대 이후 완만한 감소
- 대부분 연령에서 정상 범위(18.5~24.9)를 상회
- 30

🟢 여성
-
- 20대: 21~21.3, 저체중 경계선
- 30
50대: **2223** 안정적 유지 - 60대 이상: 소폭 증가 (23.6~23.7)
🟡 남녀 BMI 요약 비교
항목 | 남성 | 여성 |
평균 BMI | 약 25 | 약 22~23 |
고점 시기 | 30~50대 | 60대 이후 증가 |
2023 기준 | 대부분 과체중 범주 | 20대는 저체중 경계선 |
📝 BMI보다 중요한 건 "흐름"
BMI는 현재의 수치보다
✔ 증가 중인지
✔ 유지 중인지
✔ 감소 중인지
이 **‘방향성’**이 건강관리에서 훨씬 더 중요합니다.
나의 BMI는 몇 점일까요? (자가진단 가능한 사이트)
'쓸만한 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꾸 붓는다면? 식재료부터 스트레칭까지, 붓기 관리 루틴 총정리! | 붓기에 좋은 음식과 습관 (0) | 2025.05.19 |
---|---|
공황장애 후기① | 나도 혹시 공황장애? | 불안장애랑 어떻게 다를까? | 공황장애 자가진단 (3) | 2025.04.28 |
눈이 건조하면 왜 몸 전체가 피곤할까? | 눈건조와 졸린느낌 | 안구건조 완화 습관 | 안구건조에 도움되는 음식 (3) | 2025.04.28 |
계단 오르기 효능 | 계단 운동 방법 (0) | 2025.04.24 |
시간대별로 다른 스트레칭 효과 | 안해도 되지만 하면 더 좋은 스트레칭 | 유튜브 채널 추천 (0) | 2025.04.23 |